참 이상하다. 예수님을 믿는다고 하면서 정작, 예수를 바라보지 않는다.

예수님을 믿는다고 하면, 예수만 바라보는 것 아닐까?


그런데, 문제는 그것 이다. 예수만 바로보는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렇다. 우리 몸둥아리(?)는 예수만 바라 볼 수 없도록 만들어져 있다.

뭔가 문제가 있다....


그렇다. 예수님을 믿는다고 해도, 정작 내 몸둥아리(?)는 예수를 믿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았던 것 같다....


맞죠?


이게 맞을 것이다...........그렇다 원래부터 나는 예수를 정말 믿을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바울 사도는 결국 믿음


결국 믿음으로 믿는 것이다!!!


라고 이야기 한것 같다...


이게 무슨 말인가?


믿음으로 믿는 것이다.~~!!



로마서 1:17

복음에는 하나님의 의가 나타나서 믿음으로 믿음에 이르게 하나니 기록된오직 의인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 함과 같으니라


‘믿음으로 믿음에’ 이르게 하나니~~!!!

이게 무슨말인가?


‘믿음으로 믿음에’

ㅎㅎㅎㅎㅎㅎ

정말 믿기 원한다면

그것을 믿어야 한다는 말인가?

ㅋㅋㅋㅋ


이게 무슨 말인가?

영어성경을 봐볼까요^^?



For in the gospel a righteousness from God is revealed, a righteousness that is by faith from first to last, just as it is written: "The righteous will live by faith."


영어 성경에는


이렇게 되어 있는 것 같군요...


‘a righteousness that is by faith’

믿음으로 옳음에 이르게 된다~!!!


암튼...


우리 몸둥아리는...

믿음을 방해하는 존재인것 같습니다...




음...

결론은...


그래도, 예수에 미치자는 것이죠

비록 우리 하드웨어

우리의 몸둥아리는

비록 완벽하게 믿을 수 있는 몸둥아리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우리 하드웨어로는

진정한 믿음을 할 수 없는 하드웨어이지만....


그래도 믿으면...


기적이 일어나는 것이지요...


예수님께서

항상 말씀하신

‘니 믿음대로 될지어다’

가 되어 버리는 것이죠..


우린 예수님께서 ...

‘니 믿음대로 될찌어다’라고 말씀하 실때까지...

계속 계속 계속

keep having faith!!!


해야 하는 것이지요..


내일일은 걱정하지 마시고요...


그냥 오늘만 사시기 바랍니다....


그게 맞는것 같습니다.


오늘만 사십시요..

대신 믿음으로

기쁨으로!!!


오늘만 사십시요...

기쁨으로

감사함으로

기도함으로 오늘만 하십시요..

그럼 내일은 좀더 하나님께

아버지께...다가가 있을 것니까요!!!


요즘 ...제가 갑갑한게

더 있어요~~


뭐냐고요?


왜? 예수만 바라보지 않느냐는 것이죠~~

그러면서, 기복을 비판하고

말입니다....


그런데...제 생각에는

다 이게...

이런 비판은

진짜 예수님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기복이니 고난이니 이게 중요한게 아닌것 같아요...


예수님이 중요한 것이지요...


예수님이 중요한 것이지요...


예수님 안엔 기쁨만 있을 뿐인데...

우리 안엔...걱정과 여러가지가...

섞여있으니..그게 문제인것이지요...


오로리 예수에 미치면

기복이건 고난이건 이것은 아무것도 아닌것이죠...


그냥 예수이면 되는 것지죠~~~!!


할렐루야!!!


예수에 미치자~!!

I want to crazy to Jesus~!



그것은 이신 예수님이시다.


예수님을 믿는다는 것이 뭘까?


정말 예수에 미쳐 사는 것이다.


예수님께 미쳐야 한다. 예수님이 이 땅에 오셔서 결국에 보여주신


죽음을 이겨내심을 믿는 것이다.


그냥 예수에 미쳐보자....

그냥 예수님께 미쳐보자....


빛이신 예수님께~~

빛에 미치자~~~!!^_^

내 믿음대로 될지어다~~~!!

할렐루야~~!!





흐~~
할렐루야
10차원을 총괄하시는 성령님

스벅에서 글쓰고 있어요 ^^​


흐 흐 흐 영감을 주소서 Holy Spirit

DAC

Discretionary Access Control




discretionary


디스크래서내리

/dɪˈskrɛʃ əˌnɛr i/


자유재량...



dis·cre·tion·ar·y


dis·cre·tion

디스~크레~션~


1250년 정도에 사용하기 시작한 단어이군요..

Late Latin 후기 라틴?

Middle English 중세 영어?

Anglo-Frech 안글로 프랑스?

라틴, 영국, 프랑스 동시에 사용했던 언어라... (아니~~~~~이럴 수가~~~)

라틴어 영어 프랑스에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단어가 있단 말인가?




noun

1.

the power or right to decide or act according to one's own judgment; freedom of judgment or choice:

It is entirely within my discretion whether I will go or stay.

2.

the quality of being discreet, especially with reference to one's own actions or speech;prudence or decorum:

Throwing all discretion to the winds, he blurted out the truth.



자유로운 결정인데..

점잔하고 신중하게..


재량이란 한자가 가장 잘 어울리는 단어인것 같다.



재량2 (裁量) [재량]

[명사]

1. 자기의 생각과 판단에 따라 일을 처리함.

2. <법률> [같은 말] 자유재량(2. 행정청이 공익이나 행정의 목적에 보다 적합한 것이 무엇인지를 판단하는 행위).




디스크레셔네리~~


인터넷에서 뒤져서 나온 그림

discretionary 관련 그림;;;

Link : https://c1.staticflickr.com/1/569/22196166203_dd812d92b2_b.jpg



음...

리눅스에서는 파일에 권한을 설정할 수 있어요^^



[root@localhost ~]# ls -la

total 127648

dr-xr-x---. 27 root root      4096 Dec 18 11:01 .

dr-xr-xr-x. 20 root root      4096 Dec  7 20:40 ..

-rw-------.  1 root root      1351 Dec  4 14:35 anaconda-ks.cfg

-rw-------.  1 root root     18599 Dec 23 15:18 .bash_history

-rw-r--r--.  1 root root        18 Jun 19  2015 .bash_logout

-rw-r--r--.  1 root root       176 Jun 19  2015 .bash_profile

-rw-r--r--.  1 root root       176 Jun 19  2015 .bashrc

drwxr-xr-x. 16 root root      4096 Dec  4 19:21 buildroot

drwx------. 13 root root      4096 Dec 11 16:42 .cache

drwxr-xr-x.  8 root root      4096 Nov 11 09:00 ccs-tools

drwx------. 15 root root      4096 Dec 11 16:41 .config

-rw-r--r--.  1 root root       100 Jun 19  2015 .cshrc

drwx------.  4 root root      4096 Dec 18 20:07 .ddd



ls -la

라는 명령을 내리면


리눅스는

현재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의 권한을 표시해주죠~~



[root@localhost ~]# ls -la

total 127648

dr-xr-x---. 27 root root      4096 Dec 18 11:01 .




dr-xr-x---

이게 파일이 속성과 권한을 나타내는 거죠~~


[속성]

d : 디렉토리 속성


[권한]

r : 읽기권한 가지고 있음(read)

x : 실행권한 가지고 있음(execution)

w : 쓰기권한 가지고 있음(write)


이렇게 파일에 대해서만.......위 3가지권한을 지정하는 것을

DAC라고 말해요

D

D

D

Discretionary

디스크래션래리...재량..

접근제어(Access Control)

이라고 하죠~!


파일 소유자권한/그룹권한/다른사용자 권한

을 지정 하는 것입니다.


이런데 이것만 가지고는 헛점이 생기는게 문제이니다.


예를 들면,

root 이면...

모든 것을 다할 수 있는데


DAC로는 root의 권한을

제어할 수 없는게 문제죠~~!


그래서, 이 파일에 대해서만 접근제어를 하는 것 보다


더 엄격한 접근제어를 할 수 있는 기능인


MAC(Mandatory Access Control)이

나오게 된 것입니다.


MAC는 보통 Kernel Object에 대한 접근 제어를 할 수 있어요

그래서 Kernel Object가 생성되는

시점에..

제어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답니다.


SELinux

TOMOYO

AppAmor

등...

다양한


MAC방법이 있습니다.

하지만

복잡합니다.

;;;;



[참고]

https://en.wikipedia.org/wiki/Discretionary_access_control

http://dictionary.reference.com/browse/prudence



터닝메카드...

리눅스에

계정을 추가해~~


계정~~


계정을 말이다~~!!


흐흐흐

웃기는 꼬마구나....

그게 그렇게 쉬운줄 아냐?~~~


쉽지...

어디서 어렵다고

구라냐~~


자..

내가 보여주겠다...

리눅스에 계정을 추가하는 모습을~~~!!!


자 그냥

useradd

를 치면된다고~~!!



유저에드


[root@localhost ~]# useradd test2

[root@localhost ~]# cat /etc/passwd | grep test2

test2:x:1002:1002::/home/test2:/bin/bash



test2 라는 계정을 추가했습니다.

그랬더니

/etc/passwd라는 파일에

test2라고 하는 항목이 추가되었어요~~!!


이렇게요~~!!


test2:x:1002:1002::/home/test2:/bin/bash

아~

봐도 모르겠다~~!!

1002는 또 뭐야?

/home/test2는

사용자 홈 디렉토리 같군~~!!


/bin/bash

는 또 뭐야?


아..머리 아파..

오늘은 여기까지~~!!





너는 뭐냐?

busybox~~

~~

비즈박스는 뭐죠?

대대체...비즈박스만 나와요..

심지어 init도..

exe의 경로는

/bin/busybox

로만 나옵니다..

왜그러는거죠?


# pwd

/proc/1

# ls -la exe

lrwxrwxrwx    1 root     root             0 Dec 15 05:39 exe -> /bin/busybox




음...

그래서 /sbin/init의

실체를 확인해보았습니다.


# ls -la /sbin/init

lrwxrwxrwx  1 root   root        14 Dec  4 08:44 /sbin/init -> ../bin/busybox


아니 이런;;;

/sbin/init은~~

‘../bin/busybox’

의 링크였군요~~!!

이런 이런

심지어

모든 파일이 다...

busybox에 링크되어 있었습니다.

;;;;


# cd /bin

# ls -la

total 550

drwxr-xr-x    2 root     root          2048 Dec  4 10:22 .

drwxr-xr-x   18 root     root          1024 Dec  4 10:22 ..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ash -> busybox

-rwsr-xr-x    1 root     root        555868 Dec  4 10:22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cat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catv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chattr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chgrp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chmod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chown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cp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cpio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date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dd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df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dmesg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dnsdomainname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dumpkmap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echo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egrep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false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fdflush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fgrep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getopt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grep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gunzip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gzip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hostname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kill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linux32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linux64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ln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login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ls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lsattr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mkdir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mknod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mktemp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more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mount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mountpoint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mt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mv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netstat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nice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pidof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ping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pipe_progress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printenv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ps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pwd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rm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rmdir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run-parts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sed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setarch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setserial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10:22 sh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sleep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stty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su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sync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tar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touch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true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umount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uname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usleep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vi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watch -> busybox

lrwxrwxrwx    1 root     root             7 Dec  4 08:44 zcat -> busybox



[참고]

http://manpages.ubuntu.com/manpages/precise/man1/busybox.1.html






명령한다...


사진출처는 : http://cs.kumoh.ac.kr/fb/61776

이곳이라고 합니다.


이 사진을 보고

Vi를 공부합니다.


저자권 주장하시면 바로 내리겠습니다.^^


명령모드로 바꿔...


ESC를 누르면..명령모드로 변경...



오늘 익힐 Vi 명령은

대문자 ‘J


J

를 누르면..

밑에 있는 행과 한줄이 됩니다..



--------



+ Recent posts